기체 분자 운동론에서 중요한 두 가지 개념인 평균 자유 행로와 충돌 주파수는 입자의 충돌 거동과 운동 특성을 정량적으로 설명하는 데 활용된다.
1. 평균 자유 행로(λ, Mean Free Path)
- 정의: 한 입자가 연속된 충돌 사이에 이동하는 평균 거리.
- 의미: 입자가 얼마나 자주 다른 입자와 상호작용하는지를 나타내며, 밀도가 낮거나 온도가 높을수록 평균 자유 행로가 길어진다.
수식 (단순한 기체 모델 기준):
: 입자 지름 : 단위 부피당 입자 수 (number density)
: 압력 : 절대온도 : 볼츠만 상수
2. 충돌 주파수(ν, Collision Frequency)
- 정의: 단위 시간당 한 입자가 다른 입자와 충돌하는 평균 횟수.
- 의미: 입자의 속도 및 주변 입자 밀도에 따라 결정되며, 에너지 전달, 반응속도, 확산 등에 영향을 미친다.
수식:
: 평균 속도 (보통 열속도 사용)
위 평균 자유 행로 수식을 대입하면:
3. 요약
항목 | 수식 | 의미 |
평균 자유 행로 $\lambda$ | 충돌 사이 평균 거리 | |
충돌 주파수 |
초당 충돌 횟수 |
4. 응용 예시
- 기체 확산 모델링: 평균 자유 행로는 확산계수 계산에 사용된다.
- 반도체 공정: 플라즈마 상태에서 전자 충돌 빈도 계산에 활용.
- RF 및 전자파 해석: 전자기파에 의한 전자의 운동 해석 시 충돌 주파수 개념이 사용된다.
'플라즈마 및 전기전자공학 > 플라즈마 물리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드뤼베스틴 분포와 맥스웰 분포: 전자 에너지 분포의 이해 (0) | 2025.04.07 |
---|---|
플라즈마에서의 에너지 전달 메커니즘: 전자-중성 충돌과 전자-전자 충돌 (0) | 2025.04.07 |
기체 분자 운동론: 충돌 단면적과 람사우 기체 (0) | 2025.04.06 |
플라즈마 종류와 글로우 방전 플라즈마 (2) | 2024.06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