둘이 호환 안 됩니다. 서로 장착하면 장착은 되는데, 각도가 달라서 탭/쓰레드 손상으로 인해 재사용 불가합니다. 참고하세요.
배관, 유체 제어, 설비 산업에서 사용되는 **관용 테이퍼 나사(pipe taper thread)**는 대표적으로 PT(R) 계열과 NPT 계열이 있습니다. 외형이 유사해 혼동하기 쉽지만, 나사 각도, 표준, 호환성 면에서 명확한 차이를 가집니다. 본 글에서는 PT(R)/Rc와 NPT/NPTF의 차이를 구조적으로 정리합니다.
1. 표준과 명칭
구분 | 표준 체계 | 외경 나사 | 내경 나사(테이퍼) | 내경 나사(평행) |
BSPT (ISO) | ISO 7-1 / JIS B 0203 | R 또는 PT | Rc | Rp 또는 PF |
NPT (미국 ANSI) | ANSI B1.20.1 | NPT | N/A | NPS (평행), NPTF (Dryseal) |
- PT는 일본식 명칭으로, ISO 7-1 기준의 R 나사와 동등합니다.
- Rc는 R/PT의 암나사(내경 테이퍼) 대응이며, Rp는 평행 내나사입니다.
- NPT는 미국에서 사용하는 테이퍼 외경 나사이고, NPTF는 별도 실런트 없이 밀봉 가능한 강화형입니다.
2. 나사 형상 및 밀봉 방식
항목 | PT(R) / Rc | NPT |
나사산 각도 | 55도 (Whitworth) | 60도 (Unified) |
나사산 형상 | 둥글고 넓은 편 | 뾰족하고 가파름 |
테이퍼 각도 | 1:16 | 1:16 |
밀봉 방식 | 금속 간 체결 (기본 밀봉 가능) | PTFE 테이프 또는 실란트 필수 |
표준 | ISO 7-1 / JIS | ANSI B1.20.1 |
- PT(R)는 금속 간 밀착으로 밀봉이 가능하나, 실런트 보조 사용 시 누설 방지에 더 유리합니다.
- NPT는 체결만으로는 완전 밀봉이 어려워 반드시 테이프나 실런트를 사용해야 합니다.
- NPTF는 밀봉 정밀도를 높인 버전으로 별도 실런트 없이도 밀봉이 가능한 구조입니다.
3. 지역별 사용 및 호환성
항목 | PT(R) / Rc | NPT |
주 사용 지역 | 한국, 일본, 유럽 일부 | 미국, 캐나다, 북미 전역 |
나사 호환성 | NPT와 비호환 | PT(R)와 비호환 |
연결 시 주의 | 외형 유사하지만 각도와 나사산 다름 → 누설 발생 가능 |
- PT(R)과 NPT는 체결이 물리적으로 가능하더라도 나사산 형상이 달라 누설 위험이 큼.
- 반드시 동일한 규격 간의 체결이 필요하며, 다른 규격 간 연결은 변환 피팅 어댑터 사용을 권장합니다.
4. 정리 요약
항목 | PT(R) / Rc | NPT |
표준 | ISO 7-1 (BSPT), JIS B 0203 | ANSI B1.20.1 |
나사산 각도 | 55° | 60° |
밀봉 | 금속 간 체결, 실런트 보조 | 테이프/실런트 필수 |
주요 지역 | 한국, 일본 | 미국, 캐나다 |
주요 용도 | 유압, 공압 설비, 일반 배관 | 북미 설비, 산업 플랜트 |
주의사항 | NPT와 호환 불가 | PT(R)와 호환 불가 |
'기구설계 > 요소설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-ring: 반도체 및 진공 장비용 오링의 이해 (0) | 2025.04.05 |
---|---|
Lok 피팅 - 조립 시 토크와 회전 각도 가이드 (0) | 2025.04.05 |
Lok 피팅이란? (0) | 2025.04.05 |
VCR 피팅 완전 정리 – 초정밀 금속 씰링과 고압·고진공 대응 (0) | 2024.06.12 |
C-Seal과 W-Seal (0) | 2024.01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