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파관의 90도 엘보를 제작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. 주요한 주의사항을 아래에 정리해 보았습니다:

1. 정밀한 치수 관리:
• 도파관의 치수는 전자파 전송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밀하게 제작해야 합니다. 특히 90도 엘보의 각도와 내부 곡률 반경이 정확해야 합니다.
2. 곡률 반경:
• 도파관의 90도 엘보는 내부의 곡률 반경이 충분히 커야 전송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 곡률 반경이 너무 작으면 반사와 전송 손실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.
3. 도파관의 매칭:
• 엘보 부분이 다른 직선 도파관과 매칭될 때 임피던스가 잘 맞아야 합니다. 매칭이 잘못되면 반사 손실이 커질 수 있습니다.
4. 재료 선택:
• 도파관 제작에 사용하는 재료는 전도성과 기계적 강도가 높아야 합니다. 일반적으로 동, 은, 알루미늄 등이 사용됩니다. 재료의 균일한 두께와 일관된 전도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5. 표면 마감:
• 도파관의 내부 표면은 가능한 한 매끄럽게 마감해야 전자파의 반사와 흡수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. 불균일한 표면은 전송 특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6. 용접 및 조립:
• 용접이나 조립 과정에서의 정밀도가 중요합니다. 용접부가 매끄럽게 처리되지 않으면 전송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
7. 테스트 및 검증:
• 제작된 도파관 엘보는 전송 특성, 반사 손실, 삽입 손실 등을 측정하여 규격에 맞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 필요시 TDR(Time Domain Reflectometry) 테스트를 통해 불균일성이나 결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이러한 점들을 주의 깊게 고려하면 도파관의 90도 엘보를 성공적으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.


엘보의 반경은 어느정도로 해야하나?(WR284)


WR284 도파관의 90도 엘보를 설계할 때, 곡률반경은 전송 손실과 반사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요합니다. 일반적으로 도파관의 곡률 반경은 다음과 같은 가이드를 따릅니다:

• 일반적인 가이드라인: 도파관의 폭의 최소 2배에서 3배 정도의 곡률 반경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.

WR284 도파관의 경우, 단면의 폭이 약 72.14 mm(2.84 인치)이므로, 곡률 반경은 최소 약 144.28 mm(5.68 인치)에서 216.42 mm(8.52 인치) 정도가 적절합니다.

즉, WR284 도파관의 90도 엘보를 설계할 때 권장되는 최소 곡률 반경은 약 144 mm 이상이어야 하며, 가능하면 200 mm 이상으로 설계하여 전송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.

이러한 기준을 따름으로써 도파관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.

WR284 도파관의 90도 엘보를 설계할 때 권장되는 곡률 반경에 대한 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:

1. H-Plane 곡률 반경: 최소 110mm (4.331 인치)
2. E-Plane 곡률 반경: 최소 68mm (2.677 인치)

이 수치는 도파관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반사를 줄이기 위해 중요합니다. 예를 들어, AFT Microwave에서 제공하는 WR284 H-Plane 90도 도파관의 곡률 반경은 77.5mm로, 이는 주파수 범위 2856MHz에서 2998MHz에서 사용되며 삽입 손실이 0.05dB로 매우 낮습니다

따라서, WR284 도파관을 설계할 때 최소한의 곡률 반경을 110mm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전송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 이는 일반적인 권장 사항으로, 실제 설계 시에는 특정 응용과 주파수 요구 사항에 따라 조정할 수 있습니다.

https://www.everythingrf.com/products/waveguide-bends/aft-microwave-gmbh/622-1837-hb-wr284-02

WR284 (웨이브가이드)

• 주파수 범위: 2.6 GHz ~ 3.95 GHz
• 치수: 내부 치수 2.84인치 x 1.34인치
• 용도: S-밴드 애플리케이션, 레이더 시스템 및 일부 통신 시스템에 주로 사용
• 특징: 중간 크기의 웨이브가이드로, 전력 처리 능력과 주파수 범위 사이에서 좋은 균형을 제공

WR340 (웨이브가이드)

• 주파수 범위: 2.2 GHz ~ 3.3 GHz
• 치수: 내부 치수 3.40인치 x 1.70인치
• 용도: 일반적으로 C-밴드 레이더 시스템 및 통신 링크에 사용
• 특징: 더 낮은 주파수와 좋은 전력 처리 능력을 허용하는 더 큰 웨이브가이드

N 커넥터

• 유형: 동축 RF 커넥터
• 주파수 범위: 최대 11 GHz (표준 버전); 고성능 버전은 최대 18 GHz까지 가능
• 용도: 무선 통신, 방송 장비 및 네트워킹 하드웨어에 널리 사용
• 특징: 고주파에서 좋은 성능을 제공하며, 50-옴 및 75-옴 버전으로 제공

DIN 4 커넥터

• 유형: 멀티 핀 전기 커넥터 (RF 애플리케이션에 특정하지 않음)
• 일반 용도: 오디오 및 비디오 장비, 데이터 전송 애플리케이션, 전원 공급 장치
• 핀: 일반적으로 4핀이나 구성에 따라 다를 수 있음 (예: DIN 5, DIN 6)
• 특징: 다양한 전자 장치에서 신뢰할 수 있는 연결을 제공하는 원형 커넥터로, 다양한 핀 배열이 있음

각 커넥터 및 웨이브가이드 유형은 특정 주파수 범위 및 애플리케이션에 맞춰 설계되어 있으며, 해당 분야에서 최적의 성능을 제공합니다.

각 Cable / Waveguide의 최대 Power


WR284 (웨이브가이드)

• 전력 처리 능력: WR284 웨이브가이드는 일반적으로 약 1 MW (메가와트) CW를 처리할 수 있으며, 펄스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수 메가와트 이상의 전력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.

WR340 (웨이브가이드)

• 전력 처리 능력: WR340 웨이브가이드는 일반적으로 약 1.5 MW CW를 처리할 수 있으며, 펄스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몇 메가와트 이상의 전력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.

N 커넥터

• 전력 처리 능력: N 커넥터의 전력 처리 능력은 주파수에 따라 다릅니다:
• 1 GHz 이하: 일반적으로 최대 약 1000 W (1 kW)
• 1 GHz에서 2 GHz: 약 600 W
• 2 GHz에서 3 GHz: 약 400 W
• 3 GHz 이상: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며, 일반적으로 고주파에서는 약 200 W

DIN 4 커넥터

• 전력 처리 능력: DIN 4 커넥터는 주로 오디오, 비디오 및 데이터 전송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며, RF 전력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지 않습니다. 따라서 일반적으로 몇 와트 (특정 설계 및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최대 10-20 W)의 전력을 처리합니다. RF 애플리케이션에서는 7/16 DIN 커넥터가 사용되며, 이는 수 kW 수준의 전력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.

웨이브가이드와 커넥터의 전력 처리 능력은 설계, 재료, 환경 조건 및 냉각 메커니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'플라즈마 및 전기전자공학 > 통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도파관의 Guided wavelength(WR284 도파관 예시)  (1) 2024.06.15
도파관 엘보의 제작  (0) 2024.06.15
Circulator and Isolator  (0) 2024.06.14
스미스 차트란?  (1) 2024.06.13
SPI 통신이란?  (0) 2024.06.10

+ Recent posts